채무명의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채무명의
채무명의


a title of debt, 債務名義
title of debt


국가의 강제력에 의하여 실현될  [[청구권]]의 존재 및 범위를 표시하고, 또한  [[법률]]이  [[강제]] [[집행]]에 의하여 실현할 있는  [[집행력]]이 부여된 공증(公證)증서를 말한다. 국가는 강제집행을 보다 활발하고 신속.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권리]]를 정형화하여 누구라도 용이하게 인식할 있는 일정한  [[형식]]으로 표현하고,  [[집행기관]]은 이를 신뢰하고 진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이러한 사법상  [[청구권]]의 표현형식을 채무명의 또는 집행명의(執行名義)라고 한다.
일정한 사법상 이행의무의 존재를 증명하고 법률이 [[강제집행]]에 의하여 실현할 수 있는 집행력을 인정한 공증문서를 말하며, 승소한 확정판결과 공증인 또는 합동법률사무소에서 작성한 집행증서(예를 들면 어음공정증서)등이 있음(민사집행법 제56조)<br />국가는 [[강제집행]]이 보다 활발하고 신속 , 자유롭게 이뤄질 수 있도록 권리를 정형화하여 누구라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일정한 형식으로 표현하고, 집행기관은 이를 신뢰하고 진행할 수 있도록 해야하는데, 이러한 사법상 청구권의 표현형식을 [[집행권원]]이라고 함<br />구 민사소송법에서는 이를 &amp;'[[채무명의]]&amp;'라고 했으나 현행 민사집행법은 [[채무명의]] 대신 &amp;'[[집행권원]]&amp;'이라는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독일 원어에 충실하면서도 일반인들이 보다 쉽게 그 뜻을 파악할 있도록 용어를 순화했음<br />[[집행권원]]은 일정한 서면에 &amp;'사법상의 이행청구권의 존재를 표시하는 부분&amp;'과 그 &amp;'집행력을 인정한 부분&amp;'으로 구성되어 있음. 전자는 사적(私的)자치원칙 하에서 당사자의 의사표시에 의해 성립하고 다만 당사자의 협력이 여의치 않은 경우에 비로소 국가 공권력의 조력을 받아서 그 존재가 표시됨. 후자는 사법기관에서 공적으로 인정함으로서 성립함. 공정증서의 경우에는 양자가 뚜렷이 구분이 되나, 판결정본의 경우는 전자와 후자가 판결주문에 합체되어 있음<br />[[집행권원]]의 구성요소로서는 첫째 집행당사자 표시, 둘째 이행청구권의 내용, 셋째 집행력을 인정하는 부분 등이 있음<br />[[집행권원]]의 내용을 말할 때에는 이행청구권(급부의무)의 내용을 의미함. [[집행권원]]에 집행력이 부여될 때 이행청구권의 내용은 확정됨. 복수의 [[집행권원]]이 경합되는 경우에는 어느 [[집행권원]]에 의해 집행하더라도 상관이 없다는 것이 실무상 예임. [[집행권원]]은 거기에 표시된 이행청구권과 함께 제3자에게 양도할 있으나 이행청구권 없이 [[집행권원]]만을 양도할 수 없음. [[집행권원]]은 재심에 의해 확정판결이 취소되어 [[집행권원]]의 효력이 상실되는 경우와 [[집행권원]]의 원본이 멸실되는 경우에 소멸함<br />
[[분류:부노트사전]][[분류:세금용어]]
[[분류:부노트사전]]
부노트 bunote.com에서의 모든 기여는 cc-by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부노트 bunote.com: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 … × ÷ ¹ ² ³ ½ € † ← → ℃ ―</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ref>+</ref></charinsert> <charinsert><references/></charinsert>
<charinsert>{{풀기:+}}</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넘겨주기 [[+]]</charinsert> <charinsert>{{기본정렬:+}}</charinsert>
<charinsert>{{토막글|+}}</charinsert> <charinsert>{{IPA|+}}</charinsert> <charinsert>{{lang||+}}</charinsert> <charinsert>{{llang||+}}</charinse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