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十六計走爲上計 삼십육계주위상계
三 석 삼 十 열 십 六 여섯 육 計 셀 계 走 달릴 주 爲 하 위 上 윗 상 計 셀 계
삼십육계주위상계(三十六計走爲上計) 관련 설명
싸움에 졌을 때는 아무 꾀도 부리지 말고 달아나라는 말남북조 시대의 일이다. 북방에서는 선비족이 세운 위나라가 세력을 펼쳤고 남조는 제나라의 세상이었다. 송나라 마지막 임금이었던 순제는 제나라의 임금 소도성과 왕경측 등의 압력에 못이겨 나라를 제나라에게 흡수 당해 버리고 드디어는 암살 당하고 말았다. 그리하여 이번에는 제나라의 왕경측이 반란군을 이끌고 제나라의 수도 건강을 향해서 일대 공격을 감행했다.그는 본시 회계의 태수로 있었으나 임금(소도성)과는 오랫동안 싸움을 계속하여 자식들도 죽음을 당한 처지였다. 이제야 결판을 내리려는 결심으로 왕도를 공격해 들어가던 도중이었다. 그가 황실측에서 퍼뜨린 소문에 귀를 기울여 보니 왕경측이 도망을 가려 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왕경측은 코웃음을 치며 소리쳤다.“흥, 단장군의 계략은 무궁무진했다더군. 그 중에서도 삼십육계는 주가 상책이렸다. 그래 네놈들이야 말로 어서 주(走)자를 놓고 달아나는게 아마도 상책일 것이다.”이 말에 대해서 어떤 책에서는 단도제가 위나라 군사를 대적해서 당당히 싸우지 않고 피해 버렸던 사실을 비웃었던 것이라고 주석을 달았다.결국 왕경측은 제나라 군사에게 포위되어 달아날 여지조차 없이 목이 떨어지고 말았지만 그가 코웃음 치며 외쳤던 「삼십육계」등등의 말은 남아서 후세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오늘날까지 전하여 내려오고 있다.「일진일퇴는 병가의 상사」라는 말도 있거니와 강대한 나라 군사와 싸울 때 반드시 전진이나 돌격만이 허락되었을 까닭도 없는 노릇이니 일단 병력을 빼서 작전을 돌리는 경우 상계나 상책으로 「줄행랑」이 요긴하기도 했을 것이다.三十六計는 원래 백방의 계책, 즉 일을 꾀함에 있어 머리를 짜내어 합당 적절한 책략을 꾸며 쓴다는 말이 되겠다.우리들 사회에서 흔히 「36계 줄행랑」이란 말을 듣기도 하고 지껄이기도 한다. 여러 가지 계략이 많더라도 달아나야 하는 경우에는 재빨리 도망을 쳐서 우선 몸을 돌보는 것이 가장 상책이라는 것이며 시세가 매우 불리하고 만부득이한 경우를 당하면 우선 달아나는 일이 제일이라는 뜻이다. 최상의 방도 즉 가장 상책이라는 것까지는 같으나 이 말은 걸핏하면 도망칠 구멍만 찾는 비겁자에 대해서 경멸하고 일깨워 주는 말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