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三暮四 조삼모사
朝 아침 조 三 석 삼 暮 저물 모 四 넉 사
조삼모사(朝三暮四) 관련 설명
간사스러운 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일컫는 말 송(宋)나라에 저공(狙公 - 원숭이를 기르는 사람)이란 사람이 있었다. 그는 원숭이를 좋아하여, 무리를 이룰 만큼 원숭이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는 능히 원수이들의 뜻을 깨닫고, 원숭이 또한 저공의 마음을 깨달았다. 저공은 식구들의 배를 주려가면서까지 원숭이들의 욕망을 채워 주려 했다.그런데 갑자기 저공은 가난하게 되어 버렸다. 그래서 원숭이들의 먹는 것을 줄이려 했지만, 원숭이들이 자기를 싫어하지나 않을까 생각하고 생각한 끝에, 우선 거짓말로 말하기를, “너희들에게 도토리를 주는데, 아침에는 세 개씩을 저녁에는 네 개씩을 주기로 한다. 만족하겠는가?”라고 하자, 원숭이들은 다 일어나서 화를 내었다. 그래서 이렇게 말했다.“그러면 너희들에게 주는 도토리를 아침에는 네 개씩 저녁에는 세 개씩 주기로 한다. 만족하겠는가?”그러자 모든 원숭이들은 다 엎드려서 기뻐하였다.이 이야기는 <<列子>>의 황제편에 실려있는 <朝三募四>의 일화이다. 오늘날에 이 이야기는 <사기를 쳐서 사람을 우롱한다>는 뜻으로 쓰여지고 있거니와, 열자는 이 일화를 계속해서 이렇게 끝을 맺고 있다.“모든 것이 이와 마찬가지여서, 사물은 다 현명하고 어리석음에 따라 설복되는 것이다. 성인이 밝은 지혜로 여러 어리석은 사람들을 교묘하게 설복하는 것도, 저공이 간사한 지혜로 원숭이들을 교묘하게 속이는 것과 다름이 없다. 말하는 것과 실행하는 내용을 바꾸지 않고서, 어리석은 원숭이들을 화나게 하기도 하고 기쁘게 하기도 하는 것이다.”<<열자>>에서는 사물의 본성을 아는 것을 뛰어난 지혜라고 말하며, 뛰어난 지혜에 따라 지배한다면, 자연이 만물을 힘들이지 않고서 지배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대방이 깨닫지 못하게 지배할 수가 있다는 예증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