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공영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부노트 bunote.com
익명 (개인정보처리방침)님의 2023년 5월 30일 (화) 06:00 판 (새 문서: ==포공영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포공영에 대해서 알려주세요.<br><br>답변 :<br>       동의보감 ; 포공초(蒲公草, 민들레)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부인의 유옹(乳癰)과 유종(乳腫)을 낫게 한다.   ○ 곳곳에서 나는데 잎은 거의 고거(苦 )와 비슷하다. 음력 3-4월에 국화 비슷한 누른 꽃이 핀다. 줄기와 잎을 끊으면 흰 진이 나오는...)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포공영에 대해서 알려주세요[편집]

포공영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답변 :
      동의보감 ; 포공초(蒲公草, 민들레)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부인의 유옹(乳癰)과 유종(乳腫)을 낫게 한다.   ○ 곳곳에서 나는데 잎은 거의 고거(苦 )와 비슷하다. 음력 3-4월에 국화 비슷한 누른 꽃이 핀다. 줄기와 잎을 끊으면 흰 진이 나오는데 사람들이 이것을 모두 먹는다. 민간에서는 포공영(蒲公英)이라고 한다[본초].   ○ 열독을 풀고[化] 악창을 삭히며 멍울을 헤치고[散] 식독을 풀며[解] 체기를 없애는 데 아주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양명경과 태음경에 들어간다[입문].   ○ 일명 지정(地丁)이라고도 한다. 정종( 腫)을 낫게 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다[입문].     약명 :   분류 : 청열해독(淸熱解毒)   성미 및 귀경 : 성은 차고, 독이 없으며, 맛은 쓰고 달다. 간, 위경.
해설: 본품은 맛이 쓰고 달며, 약성은 차서 청열해독(淸熱解毒)하고 옹종(癰腫)을 소산(消散)하므로 외과의 각종 열독옹종(熱毒癰腫)과 결핵(結核), 기타 열독(熱毒)으로 인한 증상에 상용(常用)하는 중요한 약이 된다. 본품은 소울통유(消鬱通乳)작용을 겸하고 있어 유옹(乳癰)의 치료에 좋은 효과가 있으므로, 유옹초기(乳癰初起)에 홍종견경(紅腫堅硬)하고 농종(膿腫)이 아직 형성되지 않은 사람에게 좋은 치료효과가 있다. 또한 위궤양에 대한 진통작용이 우수하여 본품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은 효과가 있으며, 음식물 중독에도 응용할 수 있다.
본품은 청열해독(淸熱解毒)하면서 이뇨(利尿), 완하(緩下)작용을 겸하고 있어 상기도염, 폐렴, 급성간염, 급성담낭염, 요로감염 등에 비교적 좋은 치료효과가 있다.
본품은 맛이 쓰고 약성이 차가워서 장기간 복용하거나 과량을 복용하면 약한 설사와 복통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실열(實熱)로 인한 화독(火毒)이 아니면 응용하지 말아야 한다.   약리작용 및 약효 : 청열해독(淸熱解毒), 소종산결(消腫散結), 청간명목(淸肝明目), 이뇨통림(利尿通淋)   1. 금은화(金銀花), 연교(連翹), 적작약(赤芍藥), 천산갑(穿山甲) 등을 배합하여 유옹초기(乳癰初期)에 홍종견경(紅腫堅硬)한 증상을 치료한다.
2. 자화지정(紫花地丁), 야국화(野菊花), 금은화(金銀花) 등을 배합하여 정창종통(疔瘡腫痛)을 치료한다.
3. 어성초(魚腥草), 동과자(冬瓜子), 길경(桔梗), 노근(蘆根) 등 청폐(淸肺), 거담(祛痰) 배농(排膿)시키는 약물을 배합하여 폐옹(肺癰)의 해토농혈담(咳吐膿血痰)을 치료한다.
4. 과루인(瓜蔞仁), 몰약(沒藥) 등을 배합하여 유옹종통(乳癰腫痛)을 치료한다.
5. 대황(大黃), 금은화(金銀花), 동과인(冬瓜仁), 목단피(牧丹皮) 등을 배합하여 장옹(腸癰)의 열독옹성(熱毒壅盛)을 치료한다.
6. 황금(黃芩), 대황(大黃), 국화(菊花) 등을 배합하여 목적종통(目赤腫痛)을 치료한다.
7. 백모근(白茅根), 차전자(車前子) 등을 배합하여 임증(淋證)을 치료한다.
8. 인진호(茵蔯蒿), 치자(梔子) 등을 배합하여 습열황달(濕熱黃疸)을 치료한다.
  외증(外證)의 만종무두(漫腫無頭)와 부적부종(不赤不腫)한 자는 복용을 금하고, 음저(陰疽)와 외증이궤(外症已潰)자는 복용을 금한다. 최진규의 토종약초          전동명의 우리약초   

  포공영 [蒲公英]



국화과의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또는 동속 식물의 전초를 말린 약재(한국). 중국에서는 포공영(Taraxacum mongolicum Hand-mazz:蒲公英), 감지포공영(Taraxacum sinicum Kitag.:鹼地蒲公英)을 사용한다. 일본에서는 공정생약에 수재되지 않았다.









본문








↑ 포공영 /







포공영은 꽃이 금비녀의 머리처럼 생겨서 금잠초(金簪草)라고도 하고 줄기가 하나만 있는 것이 정(丁)같이 생겼기 때문에 지정(地丁)이라고도 한다. 옛날 어느 부잣집에 딸이 있었는데 가슴에 종양이 생겼으나 젖가슴을 의원에게 보일 수 없어 전전긍긍하고 있던 차에 어미로부터 외간 남자를 사귀어서 그렇게 된 것이라는 야단을 듣고 너무 상심하여 물에 뛰어 들게 된다. 마침 그곳에서 고기잡이를 하던 어부와 딸이 그 여자를 살려내 옷을 갈아 입히려다 가슴의 종양을 보고 산에 올라 약초를 뜯어 먹이니 낫게 되었다. 그래서 이 약초의 이름을 어부의 딸의 이름인 포공영(蒲公英)으로 지었다고 한다. 이 약은 냄새가 거의 없고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차다.[苦甘寒] 포공영은 열독을 내리고 종기를 삭히는 약으로 종창, 유방염, 인후염, 옹종(맹장염, 폐농양, 복막염)에 쓰고 안구충혈, 급성간염, 황달, 열로 인해 소변을 보지 못하는 증상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억균작용, 면역기능강화, 담즙분비작용, 간기능보호작용, 이뇨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긴 방추형의 뿌리와 근두부에 긴 타원형의 날개 모양으로 갈라진 잎이 여러 개 붙어 있다. 잎의 바깥 면은 황록색이나 회녹색이고, 뿌리는 엷은 갈색이나 흑갈색이며 꽃과 열매가 달려 있는 것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