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十步百步 오십보백보
(五十步百步에서 넘어옴)
五十步百步 오십보백보[편집]
五 다섯 오 十 열 십 步 걸음 보 百 일백 백 步 걸음 보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관련 설명[편집]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큰 차이가 없다전투가 벌어졌을 때, 50보를 후퇴한 사람이 100보를 후퇴한 사람을 비겁한 사람이라고 조소한다면, 이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 얘기가 되겠다.맹자(孟子)는 이 이야기를 그의 주장인 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고취하기 위하여 유세차로 간 양(梁)나라 혜왕과의 문답속에서 끌어내고 있다.이 이야기는 <<孟子>> 양혜왕편(梁惠王篇)에 실려 있다.하루는 양혜왕이 맹자에게 말했다.“나는 나라의 일에 어지간히 마음을 다하고 있습니다. 하내(河內)에 흉년이 들면 그 백성들을 하동(河東)으로 옮기고, 하동의 쌀을 하내로 옮깁니다. 또 하동에 흉년이 들면, 같은 방법을 쓰고 있습니다. 이웃 나라의 정치를 보면 나만큼 마음을 쓰는 사람이 없거니와, 그런데도 이웃 나라의 백성이 줄어들지 않고, 나의 나라의 백성들이 많아지지 않는 것은 어쩐 일일까요?” 맹자가 대답해서 말했다.“왕께서 싸움을 좋아하시니, 청컨대 싸움을 비유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둥둥하고 북이 울려 병사들이 이미 칼날을 접했나이다. 갑옷을 버리고 군대를 이끌고 도망가되, 혹은 100보를 도망하여 그치고, 혹은 50보를 도망하여 그치나이다. 50보로써 100보 도망간 사람을 비웃는다면 어떠하겠습니까?”양 혜왕이 말했다.“곧 100보를 도망간 것은 아닐지라도, 이 또한 도망간 것입니다.”맹자가 말했다.“왕께서 만일 이것을 아신다면, 백성들이 이웃 나라보다 많기를 바라지 마옵소서.”맹자는 이렇게 하여 양혜왕의 기분을 눌러놓은 다음, 왕도정치의 근본으로서 우선 백성들의 경제생활의 안정에 있음을 역설하고 있다.“농사철을 어기지 않는 다면, 곡식을 이루 다 먹지 못할 것이며, 촘촘한 그물을 웅덩이와 연못에 넣지 않는다면, 물고기와 자라를 이루 다 잡지 못할 것이며, 도끼를 제때에 산과 숲에 넣는다면 재목을 이루 다 쓰지 못할 것이니, 곡식과 물고기와 자라를 이루 다 먹지 못하고, 재목을 이루 다 쓰지 못하면, 이것은 백성으로 하여금 산 사람에게는 안정된 생활을 하고, 죽은 사람에게는 후하게 장사지내는 데 조금도 유감이 없게 하는 것이니, 산사람에게 안정된 생활을 하고, 죽은 사람에게 후하게 장사지낼 수 있게 하는 정치야말로, 임금노릇을 하는 근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