愚公移山 우공이산
愚公移山 우공이산[편집]
愚 어리석을 우 公 공평할 공 移 옮길 이 山 뫼 산
우공이산(愚公移山) 관련 설명[편집]
끊임없이 노력하면 마침내 성공한다는 말
태행산과 왕옥산은 사방 7 백 리, 높이 1 만 길이나 되며, 원래는 남쪽 하양의 북쪽에 있었다.
북산의 우공이란 사람은 나이 이미 90에 가까와 이 두 산에 이웃하며 살고 있었으나
산이 북쪽을 막아 왕래가 불편하므로 온 집안 사람을 불러 모아 놓고 이렇게 의논을 했다.
“나는 너희들과 있는 힘을 다 해서 험한 산을 깎아 평지로 만들고 예주의 남쪽까지 한 길을 닦으며
또 한수의 남쪽가지 갈 수 있도록 하고 싶은데 어떻게들 생각하느냐?”
일동은 일제히 찬성한다는 뜻을 표명했으나 그 마누라만이 의심스러움을 말했다.
“당신의 힘으로는 작은 언덕도 파헤치지 못할 것인데 태행이나 왕옥같은 큰 산을 어떻게 처리하겠습니까?
거기다 파낸 흙이나 돌은 어디다 처치할 생각입니까?”고 말했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그 흙이나 돌은 발해의 해변이나 은토의 끝에라도 내다 버리지.”
하고 대단한 기세여서 결국 결정이 되어 우공은 세 아들고 손자를 데리고 돌을 깨고 흙을 파내어
그것을 발해 해변으로 운반하기 시작했다.
우공의 옆집에 사는 경성씨의 과부댁에는 겨우 7~8세 밖에 안 되는 아들이 있었는데,
그 아이도 아주 좋아하며 같이 거들었지만 1년이 지나서 겨우 발해까지 한 번 왕복을 끝내는 정도였다.
황하가에 사는 지수라는 사람이 그것을 보고 웃으며 우공에게 충고했다.
“영감님의 어리석음도 대단하군요.
앞날이 얼마 남지 않은 영감님의 그 약한 힘으로는 산의 한 쪽 귀퉁이도 파내지 못할텐데
이런 큰 산의 흙이나 돌을 어쩌자는 셈입니까?”
하자 북산의 우공은 딱하다는 듯 탄식을 하며 이렇게 대답했다.
“자네 같은 천박한 생각밖에 못하는 사람에게는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겠지.
자네의 생각은 저 과부댁 외아들의 생각만도 못해. 알겠나?
가령 앞날이 얼마 안 남은 내가 죽는다고 해도 아이들은 남고,
아이들은 다시 손자를 낳고,
그 손자도 또 아이를 낳고, 그 아이가 또 아이를 낳고, 손자가 생겨 자자손손 끊이지 않네.
그런데 산은 더 커지지는 않아. 그렇다면 언젠가는 틀림없이 평지가 될 때가 오지 않겠나?”
지수는 그 말을 듣고 어안이 벙벙해졌으나, 더 놀란 것은 그 두 산의 주인인 산신이다.
산을 파내는 일이 언제까지 계속되어서는 큰 일이라고 그 사정을 천제에게 호소했으므로,
천제는 우공의 진심에 감탄, 힘센 신인 과아씨의 두 아들에게 명하여 태행․왕옥 두 산을 등에 짊어지게 한 다음,
하나는 삭동의 땅으로, 하나는 옹남의 땅으로 옮겨 놓았으므로
그 후부터는 익주의 남, 한수의 남에는 낮은 야산도 보이지 않게 되었다.
이상이 '열자'의 「탕문편」에 나오는 「우공, 산을 옮긴다」의 우화의 줄거리다.
평야 개척을 주제로 한 토지 전설로서의 민속학적 의의도 충분히 엿볼 수 있으나
그것보다도 애써 그치지 않으면 대사도 반드시 성공한다는 비유로서 읽는 것이 재미있다.
우공과 지수와 그 누가 참된 우고 지냐 하는 것도 문제다.
그래서 이 우화를 평해서
“무릇 천하지사, 우공의 마음이라면 늦어도 한 번은 성취될 것이다.
그러나 세상에서 지라는 말을 듣는 사람은, 대개 지수같은 마음으로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말을 들으면 그 어리석음을 웃을 정도로 아무 일도 성취하지 못한다.
그렇다면 세상에서 소위 우란 도리어 지가 되고, 세상에서 말하는 자는 도리어 우다.” 라고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