以心傳心 이심전심[편집]
以 써 이 心 마음 심 傳 전할 전 心 마음 심
이심전심(以心傳心) 관련 설명[편집]
서로 마음과 마음이 통함 송(宋)나라의 중 도언이 석가모니 이후의 조사들의 법맥을 계통 지어 놓고서, 많은 법어(法語)들을 기록한 <<전등록>>에, <부처님이 돌아가신 뒤에 법을 가섭에게 붙여, 마음으로써 마음에 전한다>라고 있다. 즉 석가모니께서는 가섭 존자에게 불교의 진리를 전하였거니와, 그것은 <>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무대는 영산의 집회장소로, 그 집회에 대하여 같은 송나라의 중인 보제의 <오등회원>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어느때 석가세존께서는 영산에 제자들을 모아놓고 설교를 하셨다. 그때 석가께서는 연꽃을 손에 드시고, 손가락으로 쥐면서 제자들에게 보이셨다. 다른 제자들은 그 뜻을 몰라 잠잠히 있었지만, 가섭 존자만은 그 뜻을 깨닫고 빙그레 미소했다. 즉 석가께서 연꽃을 쥐심에 대하여 가섭 존자가 미소하여, 여기에서 <염화미소>가 성립된 것이다. 그리하여 석가께서는 가섭 존자를 인정하시고 이렇게 말씀하셨다.“내게는 정법안장(正法眼藏 - 사람이 본래 갖추고 있는 마음의 묘한 덕)과, 열반묘심(涅槃妙心 - 번뇌와 미망에서 벗어나 진리를 깨닫는 마음)과, 실상무상(實相無相 - 생멸계를 떠난 불변의 진리)과, 미묘법문(微妙法文 - 진리를 깨닫는 마음)과, 불립문자(不立文字)와 교외별전(敎外別傳 - 다같이 경전이나 언어 등에 의하지 않고 으로 전한다는 뜻)이 있다. 나는 이것을 가섭 존자에게 부탁한다.”<>은 원래 불가의 말이며, <심오한 이치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이므로,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여 마음으로 깨닫게 한다>는 뜻이며 <염화미소>는 그 상징이었다. 그러나 뒤에는 한결 가벼운 뜻의 일반 용어가 되어, 말없는 가운데 마음이 서로 통하는 일과, 잠잠한 가운데 서로 깨닫는다는 뜻으로 쓰여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