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마 엿(조청)(1)
고구마 엿(조청)(1)[편집]
고구마나 쌀로 만드는 전통적인 엿 만들기가 궁금해요
답변 :
요약
곡식에 엿기름을 섞어 당화시켜 졸인 식품.
국적 : 한국
구분 : 과자
주재료 : 곡물
본문
《도문대작(屠門大嚼)》(1611)에는 검은엿과 흰엿이 처음 기록되어 있고, 그 후의 문헌에도 계속 기록된다.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의 검은엿 만들기 재료는 쌀 소두 1말, 엿기름 1되 3홉, 더운물 1동이 반이다. “쌀을 잘 씻어서 물에 충분히 불려서 시루에 앉혀서 쪄놓고, 더운 아랫목에 항아리를 놓고 항아리 속에 엿기름 가루 2줌을 놓고 뜨거운 지에밥을 그 위에 넣고, 손담그기에 알맞는 정도의 더운물을 붓고 엿기름 가루 남은 것은 축축하게 물을 뿌려놓았다가 밥 위에 방망이로 잘 저어서 덮어 두었다가, 7~8시간 후에 보면 맑은 물이 떠오를 것이니, 주머니에 퍼담아 주물러 쪄서 식기 전에 솥에 붓고 끓이라”고 씌어 있다. 이렇게 만든 검은엿을 잡아 늘여서 공기가 들어가서 흰색으로 된 것이 흰엿이다.
엿의 원료는 찹쌀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그 밖에 멥쌀·옥수수·조·고구마녹말이 많이 쓰인다. 각 지방에 따라 유명한 엿은 전라도의 고구마엿, 충청도의 무엿, 강원도·경상도의 황골엿은 일명 옥수수엿·강냉이엿, 제주도에는 꿩엿·닭엿·돼지고기엿·하늘애기엿·호박엿 등이 있다. 엿은 우리의 생활 중에 ‘엿을 먹으면 시험에 붙는다’고 하여 시험을 치르러 가는 사람에게 꼭 합격하라고 선물하기도 하고 당일 아침에 엿을 입에 물고 가기도 하며, 혼례 때에는 엿을 보내면 시집살이가 덜 심하다고도 하며 시집식구들이 엿을 입에 물고 먹는 동안 새 며느리 흉을 잡지 못하도록 입막음을 한다는 등의 풍습이 아직도 통속적으로 전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