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덱스펀드

부노트 bunote.com

인덱스펀드[편집]

인덱스펀드

index fund

증권시장의 장기적 성장 추세를 전제로 하여 주가지표의 움직임에 연동되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운용함으로써 시장의 평균 수익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포트폴리오 운용기법이다. 장기적인 투자에서 주식투자가 시장평균수익률을 상회할 수 없다는 가정에서 임의로 자산운용에 편리한 지수를 개발하고 지수에 따른 종목별 비중에 따라 분산투자를 하여 주식투자수익을 시장평균수익에 접근시키려는 투자기법이다. 따라서 포트폴리오의 분산투자기법으로 인덱스펀드를 개발, 기관투자가들의 효율적인 펀드 운용으로 많이 활용된다. 인덱스 펀드의 설정절차는 1) 자산운용에 편리한 업종별 또는 전 업종을 대상으로 하는 지수를 개발하고, 2) 지수에 편입된 종목별 비중에 따라 해당종목을 매입ㆍ편입시켜 펀드를 운용한다. 3) 구성된 펀드는 가능한 한 그대로 보유 함으로써 지수변동에 따라 펀드의 자산가치가 등락하게 된다. 4) 중도에 투자한 자금을 회수하거나 또는 추가로 신규자금을 투자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인덱스 펀드의 재구성 문제도 사전에 계획해야 한다.
최소의 인원과 비용으로 투자위험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가능한 한 적은 종목으로도 주가지표의 움직임을 근접하게 추적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자산운용의 핵심이다. 인덱스펀드의 장점은 효율적인 분산화 실현, 증권매매에 따르는 비용 절감, 저렴한 운용비용, 투자자 스스로에 의한 운용 등을 들 수 있으며, 단점으로는 목표 인덱스보다 낮은 투자성과, 구성종목 교체의 곤란성, 비편입종목에의 악영향, 증권업계의 침체 등이 지적되고 있다.